그러므로 군장을 둘둘 말아 급히 행군하고
밤낮을 쉬지 않고
보통 행군거리의 두 배 정도의 속력으로 기동하여
백 리의 행군거리를 다투어 기동하면
아군의 장군들이 모두 포로로 잡힌다.
체력이 강한 병사는 먼저 가지만
피로하고 힘든 병사는 뒤쳐진다.
이런 기동의 방법은 병사의 십분의 구를 잃는 방법이다.
오십 리 거리를 목표로 하여 다투어 기동하면
선봉장군이 위험에 빠지니
이 방법은 이분의 일만 도착하는 기동방법이다.
삼십 리 거리를 목표로 하여 다투어 기동하면
삼분의 이의 병력이 목표에 도착할 수 있다.
【原文】
是故券甲而趨, 日夜不處, 倍道兼行,
시고권갑이추, 일야불처, 배도겸행,
百里而爭利, 則擒三將軍,
백리이쟁리, 즉금삼장군,
勁者先, 疲者後,
경자선, 피자후,
其法十一而至.
기법십일이지,
五十里而爭利, 則蹶上將軍,
오십리이쟁리, 즉궐상장군,
其法半至
기법반지
三十里而爭利, 則三分之二至.
삼십리이쟁리, 즉삼분지이지.
【해설】
목표한 곳으로 상대방보다 먼저 가야 한다는 욕심에 행군을 서두르게 되면 낙오자가 생기고 장군 또한 적에게 사로잡히는 등 전력의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다고 손자는 강조합니다.
그리고 행군은 싸우러 가는 과정입니다.
단순히 행군 자체가 목적이라면 하루 100리라도 못 갈 리 없지만
행군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입니다.
목적은 적과의 싸움이며, 궁극적으로 싸움에서의 승리입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추어 행군의 속도를 산출하고 병사들의 능력에 맞추어 이동할 때 전력은 늘 충만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 속담에 “사흘 길에 하루 가서 열흘씩 눕는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서두른다고 능사가 아닙니다.
'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천에어쇼 2019 (0) | 2019.09.19 |
---|---|
정선에 살어리랏다 - 풍류 넘치는 정선여행 (0) | 2019.09.19 |
전쟁과 전략 (1) | 2019.09.19 |
⭕️뼈 때리는 인생 명언 28가지⭕️ (1) | 2019.09.19 |
📌열심히 사는 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2) | 201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