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

제3회 음식문화개선 포스터 공모 안내

by 실화소니 2019. 8. 5.

세종특별자치시 공고 제2019-1746호

 

제3회 음식문화개선 포스터 공모 안내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수준높은 음식문화 정착 및 의식수준 향상기여 하고자「제3회 음식문화개선 포스터」를 공모하오니, 세종시 소재 초등학교 재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19. 8.

세종특별자치시장 이 춘 희

 

1. 공모분야 : 포스터

2. 작품주제

- 음식점과 가정에서 「좋은식단」의 적극 실천을 담은 내용

·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

· 낭비 없는 알뜰한 식단

- 행정중심도시에 걸맞은 선진국 수준의 음식문화 향상을 담은 내용

· 영업주는 음식점 위생수준 향상과 쾌적한 환경 조성

· 종업원은 친절하고 예의바른 손님 접대

· 손님은 교양 있는 식사 예절 준수 등

- 우리나라 식생활 습관의 문제점 개선을 담은 내용 등

· 겉치레를 중시하여 낭비하는 푸짐한 상차림 문화 개선

· 버려지는 음식물로 인한 경제적․환경적 문제점 제기

· 싱겁게 먹기(나트륨 줄이기) 실천방법 등

3. 공모·접수 기간 : 2019년 9월 2일(월) ~ 9월 30일(월)

4. 공모대상(응모자격) 세종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 작품 규격

- 작품크기 : 8절지 (272mm × 394mm)

- 재 료 : 자유(크레파스, 수채화 등)

- 기재서식 : 작품의 이면에 아래서식 부착 후 학교별 취합 또는 개인 제출

작품제목

 

소속학교

 

학년 · 반

 

성 명

 

연락처

(본인 또는 부모님)

 

6. 접수 및 문의처

- 접 수 : 참가신청서(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 포함) 및 공모작품 제출(우편은 9. 30. 소인까지)

- 접수처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30, 405호(우 30151)

· 세종시청 보건정책과 식품안전담당 (☎ 044-300–5733)

7. 당선작 발표 : 2019년 10월 23일(금) 예정

- 학교통지,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게재(http://www.sejong.go.kr)

8. 심사 선정방법 :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

9. 심사기준

- 공모 주제에 맞는 작품성, 창의성, 시민공감대를 부각시킨 작품

- 음식문화개선을 잘 표현한 작품

- 낭비하는 식생활 개선을 위해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

- 상차림간소화 또는 시킨 음식 안 남기기 등 음식문화를 표현한 작

- 작품의 주제, 창의성이 우수한 작품

- 타 공모전 및 과년도 모방 작품, 학생 본인의 작품이 아닌 타인(부모 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 작품은 심사 배제

- 공모 주제 또는 출품규격이 맞지 않는 경우 심사 배제

- 학년 수준별 작품성 고려 등

10. 시 상 : 세종특별자치시장 및 세종시교육감

순위별

수상인원(명)

부 상

비 고

최우수

2

10만원

시장, 교육감 명의

우 수

3

5만원

시장 명의

장 려

10

3만원

시장 명의

입 선

35

1만원

시장 명의

합 계

50명

100만원

(문화상품권)

 11. 기 타

- 수상작품의 저작권은 세종특별자치시에 귀속되며 접수된 작품은 반환하지 않습니다.

- 공모전 수상작은 전시 및 홈페이지에 게시될 수 있으며, 홍보용 이미지로 사용 될 수 있음.

- 기타 사항은 세종특별자치시 보건정책과(☎044-300-5733)에 문의하시거나, 시청 홈페이지(http://www.sejong.go.kr)에 게재된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3회 음식문화개선 포스터 공모전 참가신청서

접수

번호

 

공모부문

포 스 터

참가자 성명

 

학교명(학년ㆍ반)

학교 학년 반

학교 소재지

 

연 락 처

☎ (휴대폰: )

위와 같이 2019년 음식문화개선 포스터 공모전에 참가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세종특별자치시장 귀하

 

 

 

 인적사항 기재서식(작품 뒷면 부착후 제출)

작품제목

 

소속학교

 

학년 · 반

 

성 명

 

연락처

(본인 또는 부모님)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구독하기 또는 공감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