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쓸모있는 법률

대여금 관련 판례

by 실화소니 2019. 8. 5.
728x90
반응형
SMALL

제3자가 타인으로 하여금 제3자 명의로 대출을 받아 이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금융기관과 자신을 주채무자로 하는 금전소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위 소비대차계약이 통정허위표시인지 여부(원칙적 소극)

➁ 제3자가 소비대차계약에 따른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법률상의 효과까지 타인에게 귀속시키려는 의사 대출 관련 서류에 서명·날인한 것이고, 금융기관 등 채권자도 이에 관하여 약정 내지 양해하였음을 추단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 있는 경우, 위 의사표시가 통정허위표시로서 무효인지 여부(적극)

➂ 이때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구체적 사안에서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는, 실제 차주와 명의대여자의 이해관계의 일치 여부, 대출금의 실제 지급 여부 및 직접 수령자, 대출서류 작성과정에 있어서 명의대여자의 관여 정도, 대출의 실행이 명의대여자의 신용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인지 혹은 실제 차주의 담보제공이 있었는지 여부,

명의대여자에 대한 신용조사의 실시 여부 및 조사의 정도, 대출원리금의 연체에 따라 명의대여자에게 채무이행의 독촉이 있었는지 여부 및 그 독촉 시점 기타 명의대여의 경위와 명의대여자의 직업, 신분 등의 모든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8다7772, 7789 판결 등 참조)


위 사건의 요지는 甲이 대출을 받기 위해 乙명의로 차명대출을 받을 경우에 금융기관이 이러한 사실을 알고 대출해 주었다면 금융기관과 甲, 乙사이에 ‘통정한 의사표시’로 이루어진 법률행위로서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결과적으로 乙명의의 대출은 무효가 될 것입니다. 무효인 법률행위가 되기 위해서는 위 ➁항에서 말하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법률상의 효과까지 타인에게 귀속시키려는 의사로 대출 관련 서류에 서명·날인한 것이고, 금융기관 등 채권자도 이에 관하여 약정 내지 양해하였음을 추단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가 성립되어야 하고 단순히 보증인의 지위는 해당이 않됩니다.

타인을 위해 차명대출을 받아주고 변제를 못해 신용불량자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위 사안에 해당이 되는지 판단해 보고 해당이 된다면 구제의 길이 있다는 것을 참고해 두세요.

예를 들자면, 지인이 집을 구입하는데 명의를 빌려달라면서 명의자 앞으로 대출을 받고서는 대출금을 변제하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런 사안은 사기죄로 처벌이 될 수 있고, 대출금도 무효처리해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대여금」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8다253413, 판결

                                                                      @scourt100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구독하기 또는 공감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