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명의로 대포폰이 개설되었고 대포폰의 미납요금이 계좌에서 인출되니 빨리 본인이 알려주는 계좌로 예금을 이체시키라는 전화를 받았어요. 그래서 바로 그 계좌로 모든 예금을 이체했는데, 제 예금은 안전하겠죠?
☞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군요. 보이스피싱과 같은 신종 전자금융범죄는 ‘대포폰’, ‘미납요금’ ‘자녀납치’ 등과 같은 말로 피해자의 심리를 압박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런 경우에는 그 당시 언급된 은행이나 기관 등 관련된 곳에 다시 전화를 하여 실제 상황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피싱(Phishing)이란
☞ ‘개인정보(Private data)를 낚는다(Fishing)’라는 의미의 합성어로, 전화·문자·메신저·가짜사이트 등 전기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해자를 기망·공갈함으로써 이용자의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빼낸 후, 금품을 갈취하는 사기 수법을 말합니다.
☞ 피싱 사기는 전화 뿐만 아니라 문자, 메신저, 인터넷 사이트 등 다양한 전기통신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피싱(Phishing) 대처방법
☞ 지급정지 및 피해금 환급 신청
- 피싱사기로 인해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한 피해자는 ① 신속히 경찰서나 금융회사 콜센터를 통해 지급정지 요청을 한 후 ② 해당 은행에 경찰이 발급한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제출하여 피해금 환급 신청을 합니다.
☞ 피싱사이트 신고하기
- 금융거래정보를 빼내기 위해 은행 등의 홈페이지를 모방하여 만든 가짜 홈페이지 즉, 피싱사이트로 의심되거나 확인된 경우에는 해당 사이트를 신고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식장 이용계약 및 손해배상 (0) | 2019.09.17 |
---|---|
소방시설 5m 이내 안전표지가 설치된 곳에 주·정차 시 과태료 및 범칙금이 2배! (0) | 2019.09.13 |
공장설립의 대행 (1) | 2019.09.09 |
스미싱(Smishing) 피해사례 및 대처방법 (0) | 2019.09.07 |
택배 기사가 운송물의 훼손 사실을 확인하고도 손해배상을 해주지 않아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나요? (2) | 2019.09.06 |